존 볼비의 애착이론 – 미술치료와 마음의 뿌리를 찾아서
“삶의 첫 번째 관계는,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믿을지를 결정짓습니다.”

✔ 애착이란 무엇인가요?
애착(Attachment)은 인간이 특정한 대상과 정서적으로 연결되고, 그 사람을 안전한 기반으로 여기는 심리적 유대감입니다. 심리학자 존 볼비(John Bowlby)는 이 애착이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본능적인 행동체계라고 보았습니다.
그는 “유아기에서의 애착 경험이 평생의 정서적 기반이 된다”고 주장하며, 이 이론을 통해 부모-자녀 관계, 성인기의 인간관계, 그리고 심리치료 전반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 존 볼비의 애착이론 핵심 요약
구분 | 설명 |
---|---|
안전기지 (Secure Base) | 아이의 탐색 활동을 지지하고 힘들 때 돌아올 수 있는 심리적 안식처 |
애착 행동 (Attachment Behavior) | 울기, 매달리기, 미소 짓기 등 본능적 접촉 행동 |
내적 작동 모델 (Internal Working Model) | 자신과 타인에 대한 신뢰와 관계 방식의 심리 구조 |
애착 유형 | 안정 애착, 불안 애착, 회피 애착, 혼란 애착 등 |

✔ 애착유형 4가지
- 안정 애착 (Secure Attachment): 사랑과 보호를 일관되게 받은 아이는 신뢰감을 갖고 세상과 관계를 맺습니다.
- 불안 애착 (Anxious Attachment): 일관되지 않은 돌봄으로 인해 끊임없는 불안과 집착을 보입니다.
- 회피 애착 (Avoidant Attachment): 감정 표현이 억압된 환경에서 타인을 멀리하고 독립적으로 행동합니다.
- 혼란 애착 (Disorganized Attachment): 보호자가 동시에 위협의 대상일 때 나타나는 극단적 혼란 행동입니다.

✔ 미술치료와 애착이론의 연결
미술치료는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과 기억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게 해줍니다. 특히 애착의 문제는 대부분 무의식적인 영역에 뿌리를 두고 있어, 그림, 색채, 조형 활동을 통해 자신도 몰랐던 감정의 흐름을 발견하고 안정감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 🖼 “나의 안전기지” 그리기 – 현재 자신이 느끼는 안전한 공간 표현
- 🖌 부모와 나의 거리 표현 – 관계의 심리적 거리감을 시각화
- 🎨 감정 색깔지도 – 감정의 흐름과 애착 유형을 색으로 나타내기

✔ 마무리하며 – 마음의 뿌리부터 돌아보는 시간
존 볼비의 애착이론은 단순히 어린 시절의 이론이 아닙니다. 오늘 나의 감정, 관계 방식, 상처받는 패턴… 이 모든 것의 시작점을 되짚어보는 키가 됩니다.
미술치료는 그 여정을 따뜻하게 동행해 줄 수 있습니다. 당신이 돌아갈 수 있는 ‘심리적 안전기지’를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 지금 시작해 보세요.
'미술치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으로 마음을 치유해요 – 미술치료란 무엇일까요? (0) | 2025.04.14 |
---|